본문 바로가기

Medical coder11

Risk Adjustment Coder 채용 절차 A to Z 오늘은 Risk Adjustment Coder로 일하게 되기까지의 채용 절차에 대해 이야기해볼까 해요. 이 분야는 헬스케어 코딩 중에서도 꾸준한 수요가 있는 영역이지만,채용 과정이 생각보다 단계가 많고 통과 기준도 높습니다.단순히 이력서를 제출하는 것에서 끝나는 게 아니라Pre-employment Test, Interview, Background Check, Training, Initial QA까지 여러 관문을 거쳐야 하죠.그 과정을 하나씩 살펴볼게요.1. 이력서 노출(Resume Exposure) 또는 Direct ApplicationResume Exposure: Indeed, LinkedIn 등에 이력서를 공개해 두면 Recruiter가 먼저 연락할 수 있습니다.Direct Application: 채.. 2025. 8. 13.
요즘 근황과 코딩 이야기 잠깐 나눠요 오랜만에 인사드려요요즘 근황을 조금 나눠볼게요.정말 오랜만에 글을 올리네요.요즘 어떻게 지내냐고요?한마디로… 무척 바빴습니다! 한국에서 친구가 잠깐 다녀갔고,그와 동시에 새로운 회사 오리엔테이션 일정이 겹치고,그동안 일했던 코딩회사에서도 다시 프로젝트가 시작되고…이 모든 것들이 한꺼번에 몰려오면서 정신없이 지냈어요.그러다 보니 어느새, 새 회사에서 일한 지 한 달이 훌쩍 지나버렸네요. 그래도 일은 잘 적응하고 있어요.QA 스코어도 안정적으로 잘 나오고 있고,무엇보다 첫 회사에서 다양한 프로젝트를 경험한 덕분에,지금 이곳의 업무는 정말 ‘쉽다’고 느껴질 만큼 익숙하게 다가옵니다. 그리고 이번 회사에서 제가 **처음으로 경험하고 있는 게 바로 ‘Query 작성’** 이에요.단순히 코딩만 하는 게 아니라,진단.. 2025. 7. 29.
🧠 의료 코딩의 필수 기준, Official Coding Guidelines란? ✅ Official Coding Guidelines 란 ? 의료코딩을 하면서 절대 빠뜨릴수 없는게 바로 Official Coding Guidelines 입니다 .미국에서는 이 가이드는 **CMS (Centers for Medicare & Medicaid Services)**와 **NCHS (National Center for Health Statistics)** 가 매년 함께 만들어 발표하죠.👉 ICD-10-CM 진단코드(diagnosis codes)👉 ICD-10-PCS 입원환자 시술코드 (inpatient procedure codes) --- 두 가지 코드의 사용 원칙과 기준을 자세하게 정리해둔 공식 가이드입니다.✅ 왜 중요한가요?Official Coding Guidelines는 코더로서 아래.. 2025. 5. 13.
미국 공공 건강 보험의 두 축: Medicare와 Medicaid 의료 코딩, 청구, 보험, 환자 상담 등 미국 의료 분야에서 일하는 사람이라면 반드시 알아야 할 필수 상식! 바로 Medicare와 Medicaid입니다.비슷해 보이지만 완전히 다른 두 프로그램의 특징과 차이점을 정리해 보겠습니다.Medicare란? (연방 정부 프로그램)대상65세 이상 미국 시민 또는 영주권자특정 장애인말기 신부전(ESRD) 환자구성Part A : 입원, 스킬드 너싱, 호스피스Part B : 외래 진료, 검사, 예방접종Part C (Medicare Advantage) : 민간 보험사가 제공 (HMO, PPO 등 포함)Part D : 처방약 보험특징연방 정부가 단독 운영전국적으로 동일한 기준일정 부분 본인 부담 있음 (deductible, coinsurance) Medicaid란? (주 .. 2025. 5. 12.
📋 미국 병원 차트는 이렇게 구성돼요 ! 안녕하세요!오늘은 코딩 업무에서 **항상 마주하게 되는 EMR(전자 의무기록)**의주요 항목들을 정리해보려고 해요. 🩺 1. Chief Complaint (CC)환자가 병원에 온 가장 주된 이유를 짧게 기록하는 부분이에요.한두 줄로 간결하게 적혀 있어요.📌 예시: "Shortness of breath for 2 days."→ 2일간의 호흡곤란📝 2. History of Present Illness (HPI)현재 증상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담겨 있는 파트예요.언제부터 시작됐는지, 어떤 상황에서 악화되는지 등의 내용이 포함돼요.📌 예시: "The patient reports worsening shortness of breath over the past 2 days, worse with exertio.. 2025. 5. 4.
🧠 MEAT – Risk Adjustment Coding의 핵심 기준 Risk Adjustment Coding에서 중요한 개념 중 하나가 바로 MEAT (Monitor, Evaluation, Assessment , Treatment ) 입니다. MEAT는 환자의 만성질환이 실제로 관리되고 있는지를 확인하기 위해 사용되는 기준입니다. 단순히 과거에 진단된 병이 있다는 이유만으로 코딩할 수는 없고 , 지금도 환자가 그 질환에 대해 진료를 받고 있다는 근거가 의료기록에 나타나야 합니다 . 🩺 M – Monitor (모니터)The watching or follow-up of a condition. A provider may document their monitoring of disease progression/regression, signs and symptoms, etc.. 2025. 4. 28.
반응형